공부

고교학점제 추진계획

DMN 2022. 10. 2. 00:22
반응형

추진배경

□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측할 수 없는 미래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급격한 사회 구조 및 업세계 변화, 염병 유등 다가올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시대  

    4차 산업혁명 특징(4차산업혁명위원회 등) : 지식‧정보의 유통기한 단축, 근로형태 및 직업군 다양화, 기존 학위‧자격 효용성 상실, 직업간‧계층간 이동성 저하로 양극화 발생 등  

  인간 고유의 창의적 상상력‧공감능력 등에 대한 재조명과 함께  에듀테크 활용, 개별화 교육 등 미래사회에 적합한 교육 모델 필요  

저출산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 

  저출산은 학령인구 및 생산연령인구 감소를 초래해 인력 부족, 지역 공동화 등 국가 성장잠재력 약화로 이어질 우려 

    ※ 고등학교 인구(15~17세)는 ’20년 138만(2.7%)에서 ’60년 83만(1.9%)까지 감소

 < 학령인구(6~21세) 및 구성비(통계청, ’19) >

 

  모든 학생의 잠재력과 역량을 키워주는 교육 체제를 구현하여 국가 경쟁력 강화 및 지역 혁신 기반 마련 필요       

 

디지털 세대의 변화된 학습 성향  

  학생들은 텍스트보다 이미지·동영상 등 디지털 기반 콘텐츠를 통한 이해를 선호하고, 능동적으로 지식과 정보를 선택하여 학습하는 경향 

    학생들은 텍스트보다 이미지나 동영상을 통한 학습을 선호하는 경향, 친구관계에어서는 비대면보다 대면소통 중시”(’20.10.14, 교육정책네트워크 토론회)

  다양한 분야에 대한 탐색을 거쳐 학생 스스로 진로를 설정하고 개척해 갈 수 있도록 교육과정 다양화, 진로·학업설계 안내 필요 

사회적 불평등‧양극화에 따른 교육격차 심화    

  급격한 기술 진보와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는 고용 불안, 소득 양극화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는 상황

  ◦ 모든 학생에 대한 최소 학업성취를 담보하는 책임교육을 통해 평등한 출발선 보장을 위한 학교교육 구현 필요    

□ 새로운 시대, 새로운 인재상의 필요성 대두  

  OECD 등 국제기구에서도 미래 사회 대응을 위해서는 삶에 대한 적극성과 주도성, 책임감을 지닌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는 담론 확산

    OECD Education 2030
  -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및 변혁적 역량(transformative competencies) 강조  
  ① 창의성, 문제해결력(Creating new value, 새로운 가치 창조) 
  협동, 공감, 갈등 관리(Reconciling tensions and dilemmas, 긴장과 딜레마 해소)
 ③ 책임감, 시민성(Taking responsibility, 책임감 가지기)  

 

  비약적 기술 진보와 예측 불가능한 위험이 공존하는 미래사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인재상과 교육체제 모색 필요   

 

연구학교(시범운영) 운영 이후 현장의 변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변화   

  (학생 선택과목 증가) 학교 학생 수요조사를 거쳐 개설 과목을하고, 학생수강신청을 통해 이수할 과목을 확정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재학 중의 평균 선택 과목 수 34% 증가(30→41과목, ’20. KICE)

    

“컴퓨터공학 전공 희망, 2~3학년에 걸쳐<물리Ⅰ><물리Ⅱ><생명과학Ⅰ>,<화학Ⅱ> 선택,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된 <고급물리>에도 관심(전남 중마고 박00 학생)   
1학년 때부터 국어 교사가 꿈, 2~3학년에 걸쳐 <문학> <독서> <언어와 매체> <심화국어> <고전읽기> <현대문학감상> 과목을 선택해서 수강”(서울 불암고 김00 학생) 
1학년 <영어>, 2학년 <심화영어>, 3학년 <심화영어독해> 수업 담당, 준비가 힘들지만 과목마다 특성이 있어 교사 입장에서는 가르치는 재미가 있어”(남해해성고 한00 교사)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학생들의 과목 선택, 진로 탐색을 돕기 위해 학교별로 진로집중 주간, 과목 설명회 등 실시

   대다수 연구학교(86.9%)에서 진로상담, 과목안내 등을 전담하는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구성, 과목설명회‧상담(87.7%), 교과 커리큘럼의 날(35.8%) 운영 등 진로 및 학업설계 지원(’20. KICE)

    

“담임교사, 교과교사, 진로교사 등 협업으로 박람회, 상담 등 진행 중, 아직 진로가 불분명한 1학년들도 과목 선택을 계기로 진로를 고민하게 되는 변화”(서울 동일여고 전00 교사)
“구체적인 정보 없이 진로를 결정하기 어려웠지만, 진로와 관련된 주제 탐구, 수행평가 등을 다양하게 경험하는 과정에서 진로를 고민하고 확인하는 기회”(충남 논산대건고 안00 학생)

  

 (다양한 고교 모형 등장) 학교 규모‧소재지 등에 따라 다양한 학점제 운영 모델 등장, 향후 전체 고교로 학점제 확산 시 적용 가능  

    

(경기 갈매고) 신설 학교로 선호도가 낮았으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지정 후 선호도 상승/ 2학년 29개, 3학년 42개 선택가능과목 개설, 소인수 멘토 담임제 실시, 개인별 시간표 운영 
(제주 대정고) 학년당 4학급의 소규모 학교, 교사 1인당 2~3과목씩을 담당하여 학교 다양한 과목 개설 / 시간표 짜기‧수업공간 배정 ‧ 학생 상담 등에서 소규모 학교의 강점 발휘  
(강원 마차고) 학생수 37명(학년별 1학급 규모)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이나, 인근 주천고와 함께 공동교육과정 운영, 겸임교사‧강사 등을 활용해 선택과목 확대

  

지역 내 고교교육 공동체 구축 

  (공동교육과정)희소과목, 소인수과목 등을 중심으로 두 학교 이상이 공동으로 과목을 개설하는 공동교육과정 활성화

    공동교육과정 개설 현황(’20): 오프라인 3,425과목 개설, 온라인 809과목 개설(KEDI)

    

정보 및 과학교과에 강점에 있는 논산대건고는 <화학실험> <정보과학> <고급수학Ⅰ> 개설, 사회교과에 강점이 있는 인근 쌘뽈여고는 <세계지리> <생명과학실험> 개설해 공동 운영
영등포고는 <융합과학탐구>, 당곡고는 <정보통신>, 수도여고는 <세계문화와 미래사회>, 신림고는 <스페인어Ⅰ> 공동교육과정 개설, 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학생 이동 문제 해결

  

 (학교 밖 자원과의 연계) 전문분야 학습을 위해 대학, 기업, 연구기관, 공공기관 등 지역사회 기관과 연계한 교육활동 확대 

    

(광명교육지원청) ‘문예 창작 입문’(기형도 문학관 협력), ‘연극의 이해’(광명문화재단 협력), ‘영상제작의 이해’(광명시 미디어센터 협력), ‘상담심리’(광명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과목 개설
(울산마이스터고 등) 동서발전과 연계하여 ‘발전설비 모의운전 실습교육’을 학교 밖 교육(2학점 과목)으로 개발, 울산마이스터고·울산에너지고·현대공고 등에서 개설 예정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과 협력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선도지구를 중심으로 교육의 장을 단위학교에서 지역사회로 확대  

   - 대학과 연계한 심화 과목 개설, 진로 연계 프로그램 운영, 지역기관을 활용한 실습‧체험 등 고등학교 교육과정 다양화  

     고교학점제 선도지구(’20.24개) : 15개 시도 795개 기관 참여(지자체 53개, 대학 95개, 병원 10개 등)

    

(경북 구미 선도지구) 선도지구 안에서 온라인 27개, 오프라인 81개 공동과정 운영
  <물리학 실험> <평면조형> <식품과 영양> <융합과학탐구> 등 과목 개설
(서울 동작관악 선도지구) <국제경제 브리핑, 세계화와 한국> <코딩 없이 시작하는 AI 데이터 분석 > 등 서울대, 중앙대 연계 진로 프로그램 운영
(인천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인천 도심지역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가 과목 개설 거점 ⇒ 강화, 연평, 백령도 등 여건이 열악한 도서지역 학생의 과목 선택 지원 

 

고교학점제 제도 개요

학점제 정의 

  학생이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

  운영 중점  

  - (학생의 수요 반영) 선택과목에 대한 수요 조사, 수강신청 절차 등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구성 

  - (진로・학업설계 지도) 학생들이 진로와 연계된 학업 계획을 수립하고 책임 있게 이수할 수 있도록 진로・학업설계 지도 체계화    

  - (최소 학업성취 보장) 학생들이 과목 이수 기준에 도달하여 학점을 취득할 수 있도록 책임교육을 강화하여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 보장 

< 학점제형 학사제도 운영 체계 > 

‣ 교‧강사 : 다과목 지도 전문성을 갖춘 교사 등을 포함한 교수자원의 탄력적 배치  
‣ 학교공간 : 다양한 과목개설을 위한 교실과 홈베이스, 도서실 등 학생 자율 활동 공간 확보  

 

학점 기준 학사제도

□ 학점 기반의 고등학교 졸업 체제 구축 

 (과목 이수기준 마련) 과목출석률(수업횟수의 2/3이상 출석)학업성취율(40% 이상) 충족할 경우 해당 과목을 이수하도록 기준 마련

  (학점 기반 고교 졸업체제) 법령상 출석일수 기준 충족 여부만으로 결정되는 현행 졸업 요건을 학점 취득 기준으로 전환 

   - 과목 이수기준을 충족하여 3년간 취득한 학점이 192학점 이상이면 졸업

 

- 법령상 학년 진급 요건은 현행 유지(각 학년과정 수업일수*의 2/3 이상 출석하면 진급), 각 학교 여건에 따라 학칙으로 최소이수학점 등 출석 외 진급 요건* 규정 가능

     * 교육과정상 학기당 최소 수강학점 수 등을 고려하여 설정 가능   

  (학기당 최소 수강학점 규정) 3년의 수업연한 내 학생이 192학점을 균형 있게 취득하도록 학기당 최소 수강학점 수(예시:28학점) 규정   

    정규시간 외에 운영하는 공동교육과정, 학교 밖 교육 등은 28 + α 로 증배 수강  

 (학년제 유지) 초‧중학교와의 연계, 해외 사례*, 대입 등 학년제 운영의 현실적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초‧중등교육법상 ‘학년제’ 규정 유지 

     * 미국‧유럽 등 전통적으로 고교학점제를 운영한 국가에서도 학년 개념은 존재

    

 초‧중등교육법 제26조(학년제) ① 학생의 진급이나 졸업은 학년제로 한다. 
 •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50조(수료 및 졸업 등) ① 학교의 장은 학생의 교육과정의 이수정도 등을 평가하여 학생의 각 학년과정의 수료 또는 졸업을 인정한다. 

 

□ 보충이수를 통한 학점 취득 지원                         

 (미이수 도입) 과목 이수기준(수업횟수 2/3 이상 출석, 학업성취율 40% 이상) 충족 시 학점 취득, 미이수자 발생시 보충이수 지원 

     ※ 단,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해서는 과목 이수기준을 달리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 

 

 

- 학교에서는 진단평가, 학습관리 등 미이수 예방에 중점을 두되, 미이수가 발생한 경우 보충이수* 지원을 원칙으로 하되, 대체이수도 가능  

    * 별도 과제 수행, 보충 과정 제공 등 본 과목의 내용이나 수업량을 축소하여 수강하는 방식(대학과 같이 미이수 과목을 다음 학기나 학년도에 수강하는 재이수 방식은 장기적 도입 검토)

   - 보충이수는 학업결손 보완 뿐 아니라 학습동기 부여 등 정서적 지원까지 고려하여 운영, 학교‧교육(지원)청 단위·온라인 등 다양한 방법 가능 

     기초학력 진단, 상담, 독서교육, 인성 함양 등이 결합된 최소학업성취 지원과정 운영(연구학교 사례)  

   - 보충이수 후 부여되는 성적에 상한을 설정하고(성취도 E), 보충이수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해당 과목 미이수(I*) 처리

      * Incomplete 의 약자  

  (최소 학업성취수준 도달 지도) ’22~’24년에는 직업계고와 일반계고(자율고, 특목고 포함) 일부 과목에 대해 최소 성취수준 도달 지도 실시 검토 

   - 마이스터고*의 과목별 최소 성취수준 설정 및 보충학습과정 이수 입력 방식*을 특성화고 및 일반계고(자율고, 특목고 포함) 일부과목에 적용 검토(’22~’24) 

   * 마이스터고의 경우 전문교과Ⅱ 실무과목에 대해 학교에서 최소 학업성취수준을 설정(예시 : 성취율 40% 미만)하고, ‘보충학습 과정’ 이수 여부를 학생부에 기록(’20~)

   - 최소 성취수준 도달 지도 과목에 대해서는 현장 의견 수렴을 거쳐 결정(~’21.6) 

 

 

시도별 고교학점제 추진 계획

 ※ 시‧도 제출 자료(’20.8.26~9.3, 11.17~11.20)를 요약‧정리한 것임

시도 주요 내용(안)
서울  (’20~) 공유캠퍼스 운영을 통한 서울형 고교학점제 안착(8캠퍼스 구축)
(~’23) 교육지원청별 공유캠퍼스 1개 이상 구축(15캠퍼스 이상)
(~’24) 자치구별 공유캠퍼스 1개 이상 구축(25캠퍼스 이상)

 공유캠퍼스: 권역 내 학교를 교과특성화학교로 지정, 교육과정‧프로그램을 공동 운영
 - 공유캠퍼스 내 정규시간 학교 간 협력 교육과정(공유형) 운영
 - 협력 교육과정의 일과 중 운영으로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
(~’25) 고교학점제 교육공간 구축사업 지원 확대
  설렘ON실(고교학점제 미래형 원격수업 공간)’ (’20) 101교 ‣ (’22) 208교 100% 구축 완료 
  꿈담학습카페(창의감성협업 교육공간) (‘20) 189교 (‘21) 208교 100% 구축 완료 
(CDA: Curriculum Design Advisor) 교원 교육과정‧진로‧진학 역량강화 연수(’20) 630명 (’24)2,100명 (교당 10명 내외), (‘21) CDA 심화과정 연수 60명 ‣ (’25)300명
부산 (’21) 고교학점제 부산진 선도지구 지정
(~’22) 전체 일반고 대상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
        권역별 다고른 공동교육과정 거점학교 지정 완료 
(’23) 특목고, 외고, 자사고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
‧ (’24) 지역 특화 교육과정 개발 완료(해양, 생태, 금융, 경제 등)
(~’25)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확대(’21년 1개 → ’23년 2개 → ’25년 3개)

‧ (청사진 구축) 진로‧진학지도를 위한 웹시스템 구축 및 과목소개 동영상 제작
‧ (넘나들교실) 온‧오프라인 수업 가능한 교실 50교 구축 완료 
‧ (과목선택권 확대 지원) 학급당 정원 70% 이상 학생 요구 시 과목 개설 원칙, 학교 지정 과목 상한(180단위 중 126단위 이하) 설정, 소인수과목/확대 학급/제2외국어 복수 개설/교육과정 담당자 시수 감축(4시간) 등을 위한 강사비 지원
‧ (다고른 공동교육과정 운영 다양화) 플러스교육과정(단위학교 미개설 과목을 학교간 협력 개설), 바로교실(진로선택, 전문교과 위주 개설 지원), 협력대학(예술, 체육, 전문적 학습환경 필요 과목) 및 공동교육과정 수강신청 시스템 구축
  바로교실(BARO Class): 실시간‧쌍방향 온라인 수업 및 온라인 스튜디오 구축(대형: 개성고, 센텀여고, 소형: 부산중앙여고)
대구 (’21) 교육과정 공동 운영 캠퍼스 ‘꿈키움 스쿨’ 6지구(소규모, 12교) 운영,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공유캠퍼스 구축‧운영(중규모, 권역별),
대구형 온라인 공동교육 캠퍼스(선도지구 및 꿈키움스쿨 대상) 구축‧운영,
대학연계 교육과정
(꿈창작 캠퍼스) 운영: 10과목

(’22) 대구형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지원센터(대구 전체) 운영 확대, 
  대학연계 교육과정(꿈창작 캠퍼스) 운영: 15과목
(~’23) 전체 일반고 대상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
 공간 인프라 구축 지원(교과교실제 34교, 학교공간혁신 32교, 교육과정 현장지원 66교)
(~’24) 학생 진로‧학업설계 역량 강화 및 교원 지원
 - 교과별 수평(수업-평가)공동체 운영 확대(’20년 344개 → ’24년 400개)
 - 다과목지도 역량강화 연수 확대(’20년 5과목 100명 → ’24년 15과목 500명) 등 추진 
인천 (~’24) 학생의 자율과 책임에 의한 학생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 연구·선도학교 운영 확대(안) - 2024년 (관내 일반고 전체 운영)  
 - 교과특성화학교 운영 확대(안) 2021년(33교) - 2024년(60교 이상 운영)   
(~’21)‘선도지구’(G-T지구, S-T지구) 운영 동반성장 모형 확대 
  - 도서지역 및 소규모 학교 동반 성장을 위한 선도지구(G-T 프로젝트) 운영
  - 도심지역(교육격차 해소-교육과정 공유)의 동반 성장을 위한 선도지구(S-T프로젝트) 운영
  - 서해 5도 지역 교육 인프라 개선(’20년 연평, 덕적, ’22~’24년 자월, 장봉, 이작)
  - 지자체, 마을과 연계하여 지역 여건에 맞는 교육 인프라 구축, 특목고-일반고-특성화고 간 연계
(~’21) 공동교육과정 내실 운영 지원
  - 거점형(70과정), 밴드형(45과정, 온라인형 ’21년 25과정), 
  - 고교·지역대학협력형(20년 3개 대학-20과정 참여, 21년도 4개대학-25과정 확대)
  - 학생선택과목확대를 위한 소인수과목 강사비 지원 (20년 40과목 지원-> 21년 93과목 지원 확대) 
(~’24) 교사 다교과 지도 역량 강화 지원
  - 선택과목 융합수업 전문성 신장 직무연수 확대 개설(20년 8개과목-> 21년 10개과목)
  - 부전공 자격 취득을 위한 지원 및 연수 체계 구축
(~’24) 교원의 교육과정·진로·학업 설계 지도 역량 및 학부모·학생 인식 개선 연수 확대 운영
  - 교육과정 설계 및 과정중심평가·성취평가제 운영 교사 전문성 제고 연수 확대
  - 초·중등 학부모 학점제 이해도 제고를 위한 연수 및 학교 참여 문화 조성 
광주 (~’23) 전체 일반고 대상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
 ※ 2년 이상 기반 마련 지원을 위해 ’23년까지 전체 일반고 연구‧선도 지정,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공간 인프라 구축 지원(교과교실제 및 학교공간혁신)
(~’23) 전체 일반고 대상 공동교육과정 운영 기반 구축
 - 일반고 전체 온라인 스튜디오/온라인 수강실/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인프라 구축 지원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확대(~’22년 50강좌), 일과 중 공동교육과정 운영(~’23년 15교)
(~’24) 교원의 교육과정·진로·학업 설계 지도 역량 및 다과목 지도 역량 강화 지원
 - 다과목 지도 연수, 교육과정 이수 지도 및 진로·학업 설계지도 연수 확대 운영
‧ 고교-대학 연계, 고교-지자체/공공기관 연계 프로그램 운영 지원
 - 대학 인프라 활용 창의 융합형 주제 탐구 프로그램, 시청 산하기관 및 공공기관 연계 진로·진학 체험 프로그램, 학교로 찾아가는 진로·학업 설계 특강 운영
대전 ‧ (‘21~) 대전형 고교학점제 추진(One is You, 원이쥬)
 One: 고교‧대학‧지역 하나되는 모습, You: 원하는 것을 선택‧경험하고 성장하는 학생
 - (ONE-CLASS, 고교-대학-지역연계) 대학별 특화 영역과 연계한 교원 직무 연수(5대학 14강좌) 및 대학 인력‧시설을 이용한 교육과정 운영(2대학 14강좌)
 - (ONE-STOP, 대전고교학점제지원센터) 학점제 안착을 위한 원스톱 지원 센터 구축
‧ (‘21) 학습자 중심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위한 「온(ON-溫)학습 카페」 구축(10교)
‧ (~’21) 학생 교육기회 보장을 위한 교육나눔실천학교 운영: 학교간 특화된 교과목 개설
        (‘20년 9교 38강좌 ⇒ ’21년 10교 40강좌)
‧ (~‘23) 학점제형 학교 공간 조성 완료(총 63교)
‧ (~’24) 전체 일반고 연구‧선도학교 지정‧운영(총 46교)
‧ (~’25) 교원 역량 강화 지원
 - 교과순회교사 운영, 대학연계 다과목 지도 연수, 커리큘럼디자이너 연수 등  
울산 (’21) 자공고 2교 일반고 전환(1교는 연구학교로 운영)
  전체 일반고 대상 연구·선도학교 지정(‘20 9교 → ’21 17교) * ‘22 25교, ’23 33교, ‘24 42교
  고교학점제 시범지구(3개 지구 운영) 및 신규지정(10월, 1개 지구) * ‘22 ~ ’24 4개 지구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기반 지역연계 공동교육과정 확대(‘20 2강좌 → ’21 5강좌)
  L.T.E. Educampus 공동교육과정(오프라인, 온라인) 확대(‘20 135강좌 → ’21 150강좌)
  * ‘22년 165강좌, ’23년 180강좌, ‘24년 200강좌
  온라인공동교육 거점센터 운영(’21 1학기 일과 내 2과목, 일과 외 10과목  ) 
  온라인 학습실 및 온라인 스튜디오 구축(‘20 16교 → ’21 23교) * ‘22 30교, ’23 36교, ‘24 42교
  교과교실제 도입학교 및 학점제형 공간조성(’20 18교 → ‘21 26교) * ‘22 35교, ’23 42교
  울산 고교학점제지원센터 개소 및 운영(고교학점제 사업 학교현장 지원, 순회교사제 운영 등)
  * 순회교사: ‘21 8명, ’22 12명, ‘23 15명 예정, 학교수요반영하여 과목 배치
  교·강사 인력풀 구축 및 확대 (’20 131명 309강좌 → ‘21 170명 350강좌) 
  교육과정 설계전문가 양성(’21 20명 ‘24 80명), 다과목 지도교사 양성(’21 80명 ‘24 300명)
  학생 진로·진학 로드맵 구성 지원: 중3·고1학생 대상 진로 맞춤형 과목 선택 안내 프로그램 지원 및 진로 맞춤형 대학 진학 방안 연구·모델링·확산
세종 (~’23) 전체 일반고 대상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지정·운영(’21년 11교 → ’23년 전체)
  - 고교학점제 학교공간조성사업(교과교실제) 지정‧운영(전체 일반고)
‧ (‘21~) 세종형 고교학점제 추진
  - (학교내 교과특성화학교 내실화) 전체 일반고의 90% 이상을 교과특성화학교로 지정‧운영 ※ ’20년 14교 → ’21: 15교 운영 예정
  - (학교간 공동교육과정) 세종 캠퍼스형공동교육과정(Ⅰ:소인수심화, Ⅲ:온라인쌍방향교육과정) 연계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 지원(’20년 1, 2학기 총 132과목)
  - (교원역량강화) 공동체성에 기반한 학교내, 학교간 교과연구동아리(I,II,III형) 운영을 통한 수업 질 제고, 고교학점제 연구지원단(’20년 4팀 운영), 교육과정 전문가 연수(90시간), 진로·진학 전문가연수(90시간) 운영을 통한 교육과정 전문가 양성
  - (학생·학부모 인식제고) 「보인다」시리즈, 진로진학 아카데미, 소식지 개발·배포 등
‧ (~‘21) 교과특성화학교 연계 학습공간 ‘多움’구축(11교), 세종 꿈마루 사업(3교)
경기 ‧ (~‘22) 경기 고교학점제 전면화 
 - (’21) 일반고 319교(85%), 특성화고 73교(100%) → (’22) 일반고 379교(100%)
 - 연구·선도학교 특색과제(융복합수업, 멘토담임제 등) 집중 운영, 연구학교 거점 역할 강화 
‧ (~‘22) 학습 선택권 확대 보장 
 - (’21) 교과순회전담교사제 27명 배치 → (’22) 교과전담교사제 전면 확대 
 - (’21) 학교 밖 교육의 학점 인정 시범 운영 → 단계적 확대 
 - (’21) 지역 단위 온·오프라인 교육과정 클러스터 580강좌 운영 → (’22) 900강좌 운영 
 - (’21) 교과특성화학교 74교 운영 → (’22) 교과특성화학교 100교 운영 
‧ (~‘22)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책임교육 제체 구축 
 - (’21) 5개 공통과목 이수 기준 시범 적용 → (’22) 선택과목 적용 확대 
 - 학생의 상황과 수준에 맞는 예방과 보충학습 등 지원 
‧ (~‘22) 고교학점제 공간 혁신 
 - 학점제 운영에 적합하도록 학교 공간 구성, 공간 재구조화 지원 
‧ (~‘22) 교육과정 마을 캠퍼스 지구 운영  
 - 교육지원청이 중심이 되어 다양한 기관과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고교학점제 운영 지원 
 - (’21) 19개 교육지원청 운영 → (’22) 25개 교육지원청 확대 
강원 (~’23) 전체 일반고 대상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운영
(~’23) 전체 일반고 대상 학점제형 공간 조성(교과교실제)
‧ (교과특성화학교 운영 확대)교과특성화학교 운영교 지원 (‘20년 15교→’21년 18교→‘22년 21교)
‧ (학교 내 선택형교육과정 다양화) 학생수요를 바탕으로 한 소인수 선택과목 개설 확대
‧ (꿈 더하기 공동교육과정 운영)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160과목>,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 운영<15과목>, 온라인 수강신청시스템 운영 
  (온라인 쌍방향 공동교육과정 운영) 온라인 쌍방향 공동교육과정 운영 확대<50과목>, 온라인 스튜디오 및 학습실 확충(20개교 추가구축)
(~’24) 교원 역량 강화 지원
 - 선택과목 지도역량강화 연수 운영, 교육과정 이수 지도 및 진로·학업 설계지도 연수 확대 운영, 수강신청 시스템 활용 연수 운영 등
(’21~’25) 인식제고 및 홍보 활동 강화(매년)
 - 학부모 대상 권역별 설명회(총6회), 학교 관리자, 교원 대상 설명회 등
충북 (~’21)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내 일반고 대상 연구‧선도학교로 지정
(~’22) 전체 일반고 대상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운영 /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확대 ‧ (~’23) 전체 고교 대상 학점제형 공간 조성(교과교실제, 공간재구조화)
지역 교육공동체와 협력하는 미래 고교교육 모델 구축

 - (교육청-지자체-대학 교육협력센터 운영) ‘21년 고교 사무 권한위임(교육감→교육장) 및 10개 교육지원청 중심으로 교육 거버넌스 구축, 지역특화 유‧초‧중‧고 연계
 - (ICT 인프라) 온라인 스튜디오(’21, 교사용 23교, 학생용 27교), 멀티스튜디오(~’23, 26교), 무선AP(’21년 53교 3,171개 전교실 구축 완료)
 - (고교학습치유 지원) 심리안정 및 학습코칭 등 학습안전망 구축(‘20년 5교, ’21년 지역별 1교<총 10교>)
교원 역량 강화 지원
 - 고교학점제 전문가 양성(기본, 교육과정 설계 어드바이저, ACE, MASTER)
   ※ (4단계 이수 핵심교원) ‘20년 35명, ’22년~24년 매년 90명
 - 교과 지도 역량 강화(매년 140명 연수, 교사 동아리 12개),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매년 70명), 자료집(매년 3종), 교육과정 및 정책 연구회(매년 3팀) 등
‧ 초‧중‧고 학생 및 학부모 지원
 - 오프라인 고교 미래교육 한마당 운영, 제도 및 교과목 이해 등 교육 영상 제작배포
‧ 고교학점제 정책추진단 및 지원단 운영
 - (추진단)부서간 및 기관간 협업으로 추진 동력 확보 / (지원단)학교 대상 연수 및 컨설팅 실시
충남 (’23) 전체 일반고 대상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운영, 학교환경 조성 지원
 - (고교학점제 전문지원단 구성) 각 분야별 고교교육과정지원센터 전문지원단을 구성, 학교로 찾아가는 연수‧컨설팅 실시(3개 권역별, 1학기 56교, 2학기 20교)
 - (참교실 길잡이 학교) 도‧농복합형 지역 특색에 따른 고교학점제 운영 모델 개발‧확산(’19년 도시형 1교, 중소도시형 1교, ’20년 읍‧면 농촌형 3교 / 3년)
(교육청 주관 순회 강사) 신청학교 간 소인수과목, 심화 과목에 대한 교육청 주관 순회 강사 지원(사전 수요조사 실시, ’20년 3교과 2명, ’21년 23교과 16명 예정)
(소규모 학교 300명 이하, 15교) 방송실 및 온라인 스튜디오 시설, 장비 확충, 기술인력 등 지원 등을 통해 간 정규 내 원격 공동교육과정 지원
전북 ‧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연차별 지정‧운영 확대) ’24년까지 모든 일반고 지정, 14개 시‧군별 균형 지정
(일반고 자‧신‧감 프로젝트 운영 지원) 
 - (’21)교육과정 다양화를 위한 오순도순 공동교육과정(28교, 114강좌),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10교, 43강좌), 대학연계 공동교육과정 운영(1기관, 5강좌 예정)
 - 일반고‧대학 연계 주말강좌(3기관 10강좌) 및 청소년 상상학교 운영( 1기관, 10강좌)
고교학점제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학교 <한걸음>활동 지원(일반고 전체)
 - 학교 단위 고교학점제 도입 역량강화 내실화(96교 지원)
(교사의 진로학업설계지도 역량강화 ’A-STeP’ 연수 확대) 학교 단위 연수(’20년 24교 → ’21년 30교), 개인별 연수(’20년 89명 → ’21년 120명)
(교사 다과목지도 역량 강화) 대학 연수원 연계 ‘교사 진로선택, 교양과목 지도 역량강화 연수’ 운영 확대(2개 대학, 6개 교과 → 10개 교과) 
(전라북도 고교학점제 웹페이지 구축 운영)
 - 고교학점제 웹페이지를 통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표 탑재 및 제출, 학생 실시간 수요조사 지원, 과목별 분반 지원으로 학교 업무경감
 - 학생, 학부모를 위한 학교별 교육과정 안내, 과목 정보 안내, 고교학점제 홍보기반 마련
 - 웹페이지를 통한 미개설 교과 데이터 축적 → 교‧강사 인력풀 지원 시스템 활용
전남 (~’24) 전체 일반고 대상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91교)
(~’21) 학교 간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거점형, 밴드형) 운영 지원
  - 온라인 공동교육 거점학교(거점형 방과 후 운영, 10교 20과정), 온라인 공동교육 거점센터(밴드형 일과 중 운영, 회원학교 4교, 2과정)
  - 고교-대학 협력형(21년 4개 대학 6과정 → 24년 20과정)  
  - 고교-지자체 협력형(20년 거점형 3과정 → 24년 10과정)  
  - 학생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강사비 지원 (20년 30과목 -> 24년까지 지원 확대)  
(~’23) 학점제형 공간 인프라 구축 지원
  - 교과교실제 72교, 온라인학습실 70교, 온라인스튜디오 20교 
(~’24) 교원의 진로·학업 설계 지도 및 다과목 지도 역량 강화 지원  
  - 다과목 지도 연수 확대(20년 10과목 200명 → 24년 20과목 1,000명) 
  - 부전공 자격 연수 확대(21년 1과목 30명 → 24년 5과목 150명)
  - 진로‧학업설계 지도 전문가 양성(21년 교당 1명 → 24년 교당 10명)
경북 (~’24) 전체 일반고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운영(총128교)
(’21) 전체 일반고 대상 단위학교 내 교육과정 박람회 실시: 4월~5월    
(’21)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내 학교 65% 이상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
(’21) 고교학점제 교육여건개선 교육소외지역 내 학교 100% 연구‧선도학교 지정
(’21) 경북형 온라인 공동교육 거점센터 구축・운영 
(’21) 에듀테크 선도고교 운영
     - 온라인 기반 교수・학습 혁신 시범학교, 도내 교원 대상 전문성 강화 연수 실시 
(’21) 도내 일반고 70% 이상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스튜디오 및 다목적학습실 구축
(’21)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지원 사업 대상 확대: 인근지역 연계 운영 및 확산
(’21) 선도지구 및 교육소외지역 내 학습종합클리닉센터 연계 학습 지원 프로그램 운영 
(’21) 다과목 지도 교원 역량 강화 연수 확대
     - 교양교과 지도 역량 강화 연수, 교양교과 대학원 진학 지원 등
(~’25) 전체 일반고 대상 교과교실제 지정‧운영(신규도입학교 매년 12교 내외 지정)
경남 (’21) 선도지구 확대 운영 (’22 선도지구 확대 운영, 경남 6개권역 중 4개 권역 교육소외지구 운영, 2개권역 선도지구 운영) 
(’21) 선도지구 내 전체 일반고‧교과특성화학교를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로 지정
(~’24)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연차적 확대 추진

 ※ 6개 권역별 1교 이상 선도학교 지정, 과학고 중 1교 선도학교로 지정
(’22년 이후 1교 추가)

(지역혁신플랫폼 사업 활용) 신설과목 교사 연수 및 수업용 원격콘텐츠 개발(’21년 10개 과목, ’22년 10개 과목, ’23년 10개 과목)
(학생과목선택권 확대 지원) 학생과목선택권 확보를 위한 소수과목강사비 또는 확대학급 강사비 지원
(고교학점제 환경조성사업 확대 지원) ’24년까지 경남형 고교학점제 환경조성사업 전(全) 일반고 확대 지원
(교사 전문성 제고 연수 지속적 실시) 선택과목, 신설과목, 수강신청 역량강화 전문성 신장 직무연수 확대 개설
제주 (~’23) 전체 일반고 대상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지정 
(’21~)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사업 및 소외지역 교육여건 개선 사업 추진
  - 온라인 학습실 구축(12실) 온라인 공동교육 스튜디오(3실) 구축(서귀포시 1개교)
 ※공용교실 무선 인터넷망 구축 및 점진적 확대(교육감 공약 4-6)
‧ 온라인 공동교육거점센터 회원학교 지속 확대
   (’21) 6교‣(’22) 7교‣(’23) 8교‣(’24) 9교
· 교과특성화학교 지정 확대
   (’21) 5교‣(’22) 7교‣(’23) 8교‣(’24) 9교
학교공간혁신사업 지속 추진
  (’21) 2교‣(’22) 2교‣(’23) 2교‣(’24) 2교
· 교·강사 인력풀 구축 및 운영
· (~‘24) 교원의 교육과정·진로·학업 설계 지도 역량 강화
 -고교학점제 인식 제고 연수, 교육과정 이수지도 전문가 연수, 소인수 및 교양과목 지도 역량 강화 연수

 

 

반응형